설법보기 글답변
본문 바로가기
두타산 삼화사
삼화사 템플스테이
국행수륙대재
로그인
회원가입
찾아오시는 길
메인메뉴
삼화사
신행생활
불교대학
요양원
커뮤니티
삼화사
주지스님인사말
역대주지스님
연혁
건립연대
삼화사유래
삼화사설화
문화재소개
조직구성
찾아오시는 길
신행생활
법회안내
설법보기
금주의법구경
불교대학
학교소개
불교대학연혁
전형안내
학사일정
학생회활동
불교도서관
요양원
소개
시설현황
후원&자원봉사
입소안내
커뮤니티
공지사항
자료실
포토갤러리
동영상자료실
신행생활
SAMHWASA TEMPLE
법회안내
설법보기
금주의법구경
설법보기
home
신행생활
설법보기
프린트
이름
필수
비밀번호
필수
이메일
제목
필수
내용
필수
웹에디터 시작
> > > 사람들은 여러 것에 의지한다. > 부모 친척 친구들이 혹시 도와주지 않을까 기대하고 > 돈․권력․명예․학벌 따위를 믿기도 한다. > 그러나 그 모든 것은 밖에 있다. > 그러한 것들이 모름지기 도움을 주기도 하겠지만, > 밖에 있는 것은 언제나 부족하게 마련이다. > > 남이 퍼준 물 한바가지는 마시고 나면 곧 빈 바가지가 된다. > 고로 나의 깊은 샘물을 떠 먹을 수 있어야 > 항상 든든하고 당당할 것이다. > > 누구라도 어려운 처지에 빠지면 먼저 주위의 도움부터 청하게 된다. > 누가 나를 도와줄 수 있을까? > 부모? > 친척? > 친구? > 어려운 처지에서 후원자를 만날 수 있음은 행운이다. > > 우리들은 뭔가 일을 도모하려 하면 먼저 조건을 따져본다. > 내 소유의 자산, 능력, 입지를 계산해 보고 > 시장, 협력자의 유무등을 검토해 본다. > 어쩌면 그것이 일의 당연한 순서일 것이고 되어 가는 모습이리라. > > 가진 것이 넉넉하고 거기에 외부의 도움까지 기대할 수 있다면 > 대체로 성공의 가능성을 점치게 된다. > 시작의 발걸음은 훨씬 가볍고 희망적일 것이다. > 그러나 바깥의 도움을 기대할 수 없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. > 가진 것이 남달리 빈약하다면 또 어찌 할 것인가. > > 옴치고 뛸 자리가 없다며 주저 앉고 말아야 하나? > 희망이 없다고 포기해야 하나? > 도움은 무한정 계속되지 않는다. > 내가 가진 것에도 한계가 있다. > 도움이나 소유는 비유하자면 한바가지의 물과 같다. > > 목이 마른 내게 지금 한바가지의 물 밖에는 없는 셈이다. > 그렇다면 이 한바가지의 물을 다 마셔버리고 난 다음엔 어떻게 할 것인가. > 그 이후의 갈증은 무엇으로 풀 것인가. > > 한바가지의 물을 지금 마셔서는 안된다. > 그 물을 펌프에 들어붓고 열심히 펌프질을 해서 > 더 많은 물이 흘러 넘치도록 해야 한다. > 그래야 오래오래 목마르지 않고 내 샘물을 내가 퍼 올리며 살 수 있게 된다. > > 한바가지의 물조차 얻을 수 없다면 어찌 할 것인가. > 그때는 속수무책일 것이다. > > 그러나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그 정도의 물은 있다. > >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고 걷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. > 그에 비하면 우리들의 대다수는 이미 훌륭한 자산을 갖고 있는 셈이다. > 저 원주의 소쩍새마을이나 음성의 꽃동네를 가 보라. > 얻어먹을 힘조차 없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에 놀랄 것이다. > 그들을 보면 나 자신은 부자요 능력자임을 실감케 되고 > 그 사실에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. > 내가 볼 수 있다는 사실이 감사하고 > 듣고 말할 수 있음이 감사하고 > 온전한 육신을 갖고 활동할 수 있음이 감사하다. > 어찌 바깥의 물 한바가지 도움을 구걸하랴. > > 어디 그뿐인가. > 마음의 능력은 통하지 않는 곳이 없고 > 미치지 못하는 데가 없다 하지 않던가. > > 정상적인 사람이면 > 누구에게나 어떤 보배와도 바꿀 수 없는 마음이라는 보배가 있다. > 그것은 퍼 내어도 퍼 내어도 줄지 않는 무한량의 샘물이다. > > 사람의 능력은 외부의 도움이나 소유물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> 마음에서 나온다. > > 마음은 에너지의 원천이요 영원히 마르지 않는 샘물이다. > 그야말로 하늘이 준 보배인 셈이다. > 그러니 어찌 도움을 기대하고 가진 것이 적다고 한탄하랴. > > 도움이 없어서 할 일을 못한다면 그건 핑계요 변명이다. > 가진 게 없어서 하고픈 일을 도모하지 못한다면 > 그건 자기를 비하하는 일이다. >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이고 해야 할 일이라면 > 먼저 내가 나를 도와야 한다. > 내 스스로 에너지로 가득 차야 한다. > > 조건이 맞지 않아서, > 또는 환경이 나빠서 주저한다면 아예 구상도 하지 않는 게 낫다. > 그것은 이미 허상일 수 밖에 없고 > 나를 앞세우는 아상의 찌꺼기일 것이기 때문이다. > > 대기업의 부회장을 지낸 사람이 호텔웨이터수업을 받는다고 한다. > 내게 가진게 없다고 그에게 말할 수 있겠는가. > 실은 많은 자산을 가지고 있으면서 그 점에 감사하기는 커녕 > 조건을 탓하고 환경을 불만스러워 할 것인가. > > 밖을 보지 말고 나를 보라. > 내가 나를 도와야 > 남도 나를 돕고 하늘도 나를 돕는다. > >
웹 에디터 끝
링크 #1
링크 #2
파일 #1
파일 #2
자동등록방지
자동등록방지
숫자음성듣기
새로고침
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.
취소
개인정보처리방침
삼화사소개
템플스테이
불교대학
노인 요양원
오시는 길
패밀리사이트
삼화사 바라밀유치원
대한불교조계종 국행수륙도량 두타산 삼화사
강원도 동해시 삼화로 584
Tel. 033-534-7661~2
Fax. 033-534-7546
템플스테이 문의. 033-534-7676
동해불교대학. 033-534-7663
요양원. 033-522-0500
Copyright ⓒ samhwasa temple. All Rights Reserved.
페이지 상단으로 가기